TMB 준비 과정에서 올려둔 인스타그램 지도 덕분에, 사마야(Samaya)의 창립자 Ghislain에게서 연락이 왔다. 한국에서 열린 사마야 행사(Lightness As Freedom) 때 인연이 닿았던 사람이니, 낯설지 않은 이름이었다. 본사가 샤모니(Chamonix)와 가까운 안시(Annecy)에 있으니 기회가 된다면 들러보지 않겠냐는 제안이었다. 생각해보니 사마야와 우리와의 인연은 깊다. 오티티 두 차례의 메인 스폰서이기도 했고, 사마야의 브랜드 이벤트인 'Lightness As Freedom'을 두 차례 함께 진행하기도 했다.
마침 TMB 이후 파리까지 이동할 계획이 있었기에, 프랑스에서 가장 살기 좋은 도시로 손꼽히는 안시를 여행 루트에 추가했다. 그렇게 찾은 사마야 본사는 안시 외곽에 자리 잡고 있었다. 단지 입구에 들어서는 순간, 한국으로 치자면 산업단지 혹은 파주 출판단지쯤에 가까운 풍경이 눈에 들어왔다. 브랜드 이미지와 달리 현실적인 공간의 결은 또 다르게 다가왔다.
Ghislain은 미국 출장이 겹쳐 자리를 비울 수밖에 없었고, 대신 우리를 맞이해준 이는 Adrien이었다. 내부로 들어서자 넓고 단정한 인상이 먼저 들어왔다. 스태프들과 간단히 인사를 나눈 뒤, Adrien의 안내로 공간을 하나씩 둘러보기 시작했다.
첫 번째는 쇼룸이었다. 예약을 하면 소비자도 방문해 사마야 제품을 직접 체험할 수 있는 곳이다. 텐트를 비롯해 브랜드가 선보여온 거의 모든 제품이 전시돼 있었다. Adrien은 하나하나 차근히 설명을 덧붙였고, 우리 역시 몇몇 텐트를 사용해 본 경험이 있어 자연스레 대화가 이어졌다.
Samaya Adrien Guillon
전시된 액세서리 중에는 프랑스 국기 라벨이 달린 제품들이 있었는데, 바로 이 본사 워크숍에서 제작되는 것들이라고 했다. 넓은 공간 안쪽에는 원단을 재단하는 구역이 따로 마련돼 있었다.
안시 전문대학(I.u.t University Institute Technology)과 공동 개발한 테스트 장비
다음으로 향한 곳은 랩이었다. 발수와 방수, 인열강도, 뒤틀림까지. 아웃도어 환경에서 요구되는 조건들을 확인하는 장비가 자리하고 있었다. 한쪽에는 냉동 챔버가 있었다. 촬영은 불가했지만, 동계 환경을 재현해 언제든 테스트할 수 있는 시설이라는 점이 인상적이었다. Adrien은 직접 그 안에서 하루를 보내며 텐트와 침낭, 보온의류, 사용자까지 포함된 상호작용을 실험한다고 했다. 그 집요함에서 브랜드의 태도가 읽혔다.
건물 외부에는 강풍기가 설치돼 있었다. 이곳에서 1차적인 풍동 테스트를 진행하고, 마지막 단계에서는 한국의 텐트폴 제조업체인 DAC이 운영하는 Windlab에서 검증을 마친다고 했다. 강풍기 앞 데크에는 강우 실험을 위한 배관도 갖춰져 있었다. 최첨단 시설이라고는 할 수 없지만, 우리 입장에서는 충분히 부러운 공간이었다.
짧은 방문이었지만, 사마야라는 브랜드가 단순히 장비를 만드는 회사를 넘어 끊임없이 실험하고 검증하는 집단이라는 사실을 가까이서 확인할 수 있었다. 화려한 마케팅이나 이미지는 잠시 잊히고, 대신 제품을 둘러싼 수많은 시행착오와 집요한 테스트가 오래 기억에 남았다. 안시라는 도시의 느긋한 풍경 속에서, 유난히 치밀한 리듬으로 움직이는 이 작은 본사는 오히려 더욱 선명하게 다가왔다.
끝으로, 우리를 초대해준 Ghislain고과 친절히 맞이해준 Adrien, 사마야 식구들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한다.
![]() |
강선희
|
Guide
Gear List : JMT - Piute Pass to Bishop Pass 5Days
JMT 기어리스트
Trekking Poles
LEKI Skytera FX Carbon SL Hiking poles
JMT 기어리스트
Battery & Charger
NITECORE NB Air Review
가벼움을 넘어선 초경량 파워, NITECORE NB Air